본문 바로가기

최소공배수5

3.2 일차방정식의 풀이 - 일차방정식의 풀이 일차방정식의 풀이괄호가 있으면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먼저 괄호를 푼다.일차항은 좌변으로, 상수항은 우변으로 각각 이항하여 정리한다.양변을 x의 계수로 나누어 x = (수)의 꼴로 나타낸다.구한 해가 일차방정식을 참이 되게 하는지 확인한다.4(x - 1) = x + 8 4x - 4 = x + 8괄호 풀기4x - x = 8 + 4이항하기3x = 12정리하기∴ x = 3x = (수)의 꼴로 나타내기 복잡한 일차방정식의 풀이계수가 소수인 일차방정식의 풀이양변에 10, 100, 1000, ... 중 적당한 수를 곱하여 계수를 정수로 고쳐서 푼다.계수가 분수인 일차방정식의 풀이양변에 분모의 최소공배수를 곱하여 계수를 정수로 고쳐서 푼다.비례식에서 외항의 곱과 내항의 곱은 같다.일차방정식의 해가 주어질 때, 미지수의 .. 2024. 5. 28.
1.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관계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관계두 자연수 A, B의 최대공약수를 G, 최소공배수를 L이라 하고, A = a x G, B = b x G (a, b는 서로소)라고 하면a, b는 서로소이다.L = a x b x GA x B = (a x G) x (b x G) = (a x b x G) x G = L x G 2024. 5. 5.
1.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최소공배수의 활용 최소공배수의 활용주어진 문장에 '가능한 한 작은', '최소한', '되도록 작게', '처음으로 다시'등의 표현이 있는 경우 대부분 최소공배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두 사람(이동 수단)이 동시에 출발한 뒤, 처음으로 다시 만나는(출발하는) 시각을 구하는 문제직육면체(직사각형) 모양을 가능한 한 작은 정육면체(정사각형) 모양으로 빈틈없이 쌓는 문제(A는 a의 배수, b의 배수, c의 배수) = (A는 a, b, c의 공배수)가능한 한 작은 정육면체이므로, 가능한 한 작은 A → A는 a, b, c의 최소공배수세 자연수 a, b, c 어느 것으로 나누어도 나머지가 같은 가장 작은 자연수를 구하는 문제 2024. 5. 5.
1.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최소공배수 구하기 최소공배수 구하기소인수분해 이용하기주어진 수를 각각 소인수분해한다.공통인 소인수와 공통이 아닌 소인수를 모두 곱한다. 이때 소인수의 지수가 같으면 그대로, 다르면 큰 것을 택하여 곱한다.소인수의 지수가 다르면 지수가 큰 것을 곱한다.소인수의 지수가 같으면 그대로 곱힌다. 공통이 아닌 소인수도 곱한다. 나눗셈 이용하기1이 아닌 공약수로 계속 나눈다. 이때 세 수의 공약수가 없으면 두 수의 공약수로 나누고, 공약수가 없는 수는 그대로 아래로 내린다.나눈 공약수와 마지막 몫을 모두 곱한다.세 수의 최소공배수를 구할 때는 어떤 두 수 를 택하여도 공약수가 1일 때까지 나눈다. 2024. 5. 5.
1.2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공배수와 최소공배수(1) 공배수: 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통인 배수(2) 최소공배수: 공배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4의 배수: 4, 8, 12, 16, 20, 24, ・・・6의 배수: 6, 12, 18, 24, 30, ・・・⇒ 공배수: 12, 24, 36, ・・・⇒ 최소공배수: 12(3) 최소공배수의 성질두 개 이상의 자연수의 공배수는 그 수들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이다.서로소인 두 자연수의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과 같다.3과 5는 서로소이므로 3과 5의 최소공배수는 3×5 = 15 2024.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