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식
- 등호(=)를 사용하여 수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식
등식에서 등호의 왼쪽 부분을 좌변, 오른쪽 부분을 우변이라 하고, 좌변과 우변을 통틀어 양변이라 한다.
x + 3 = 2, 1 + 4 = 5 → 등식이다.
3x + 2, 2 + 6 > 7, 3x + 2 > 5 → 등호가 없으므로 등식이 아니다. 다항식, 부등식, 부등식이다.
방정식과그해
- 방정식: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
- 미지수: 방정식에 있는 x, y 등의 문자
- 방정식의 해(근): 방정식을 참이 되게 하는 미지수의 값
- 방정식을 푼다: 방정식의 해(근)를 구하는 것
→ x = a가 방정식의 해(근)인지 확인할 때는 x=a를 방정식에 대입하여 (좌변)=(우변)인지 확인한다.
등식 x+2=3은 x=1일 때, 1+2=3이므로 참이고, x=-1일 때, -1+2+3이므로 거짓이다.
→ 등식 x+2=3은 방정식이고, 이 방정식의 해는 x=1이다.
'개념 정리 > 중1'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일차방정식의 풀이 - 등식의 성질, 이항/일차방정식 (0) | 2024.05.28 |
---|---|
3.2 일차방정식의 풀이 - 항등식 (0) | 2024.05.28 |
3.1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 동류항, 덧셈과 뺄셈 (1) | 2024.05.28 |
3.1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 수의 곱셈, 나눗셈 (0) | 2024.05.27 |
3.1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 - 다항식, 일차식 (0) | 2024.05.26 |